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후동행카드3

기후동행카드 청년 할인 청년권 신청방법 및 환급 서울시에서 대중교통 활성화와 온실가스 배출 줄이기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기후동행카드' 들어보셨나요? 한달에 6만5천원 또는 6만 2천원을 내면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출시 후 한달동안 46만장이 팔렸다고 합니다. 서울시에서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자 2월 26일 부터 청년할인을 실시한다고 합니다. 오늘은 포스팅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청년할인(청년권) 신청방법과 환급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상 서울에서 생활하는 만 19세 ~ 34세 청년 (89년 1월 1일 ~ 05년 12월 31일생) 금액 서울지하철 버스 청년 할인 62,000원권 👉 55,000원권 서울지하철 버스 따릉이 👉 청년 할인 65,000원권 👉 58,000원 권 할인 적용 방식 청년 할인 시범 사업 기간인 2월 2.. 2024. 2. 26.
K패스 KPASS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 알뜰교통카드 차이점 서울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출시하여 매달 6만5천원에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에서는 협약을 맺어 기후동행카드 사용범위가 확대되었는데요. 그외의 지역 사람들은 혜택을 누리지 못해 아쉬웠는데요. 이번에 국토부에서 5월에 실시한다고 발표한 K패스(K Pass)는 전국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K패스(K pass)의 장점과 신청방법, 기후동행카드와 기존 알뜰교통카드와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K Pass)란? 서울시에서 발표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 이용할 때만 월 6만5천원의 비용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K패스는 전국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대중교통 할인 서비스입니다.. 2024. 1. 31.
서울 기후동행카드 신청방법 총정리 서울에 거주 중인 분들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희소식이!! 바로 기후동행카드인데요. 한 달에 65,000원을 내면 서울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가 출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포스팅을 끝 까지 잘 읽어 보시면 교통비 절감에 큰 도움이 될겁니다. 기후동행카드란? 갑자기 불어닥친 한파! 2주 전 까지만 해도 이상 기온으로 부산에 벚꽃이 폈다는 이야기가 들렸었는데요. 이건 다 전세계적으로 기후위기 때문인데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서울시에서는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고자 기후동행카드를 도입하기로 하였습니다. 기후동행카드란 한달에 65,000원을 내면 서울권의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따릉이(공공자전거), 리버버스 까지 모두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 따릉이.. 2023. 12. 21.
반응형